본문 바로가기
병상일지/부신

[부신 종양-EP1] 부신? 처음들어봤습니다 - 프로락틴 수치 이상으로 시작된 병원 진료 이야기

by sunrise-hoho 2025. 7. 2.
반응형


시간이 지나 정리해 보는 후기입니다. 


 

 

프로락틴 수치가 높다고?

임신 준비를 하게 되며 받게 된 산전검사에서 '프로락틴' 수치가 52로 높게 나왔다.

의사 선생님께서 큰 병원 진료를 보라는 진료의뢰서를 써 주시면서 나의 부신과의 여정이 시작되었다. 

 

 

 

병원 선택 - 평촌 한림대 성심병원

그렇게 가게 된 '평촌 한림대 성심병원' 내분비내과

병원 선택 기준은 단순했다.

집에서 제일 가까운 큰 병원이었기 때문이다. 

평촌한림대성심 병원
평촌 한림대학교성심 병원

 

( 지금의 집을 고를 때 근처에 큰 병원이 있냐 없냐를 따지지 않았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가까이에 큰 병원이 있다는 게 참 복이라는 생각이 든다.)

 

 

한림대학교 성심병원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원하는 선생님을 직접 검색해보고 예약할 수 있으니 사이트를 통해 검색해보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나는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대표번호인 '1577-1801'로 전화해서 예약을 했다.  

 

 

 

첫 진료 상담

2024년 7월 29일 월요일 

 

평촌 한림대 성심병원 내분비내과는 2층에 있다.
정문에서 보이는 에스컬레이터 타고 올라가면 바로 보이지는 않고 안쪽으로 조금 더 들어가야 한다.
안내 표지가 잘 되어 있어 크게 헤맬 일은 없다.

2층 에스컬레이터

 

 

도착하면 꼭 키오스크 기계에 등록을 해주자!

환자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절차이다.

도착알림 키오스크
도착하면 키오스크에 등록

 

대기하다가 이름을 호명하게 되면 이전 병원에서 받아온 진료의뢰서를 드리고 다시 대기하면 된다. 

오래되어서 정확한 시간대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오전시간대는 항상 사람들로 가득했다.

 

 

상담은 그리 길지 않았다. 

생리를 하냐, 약이나 한약 같은 것 먹는 게 있냐 등등..

MRI 같은 경우는 비용이 비싸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하지 않는다고 하셨다. 

 

나는 생리는 규칙적이고 약이나 한약 같은 것 딱히 먹는 것 없고, 혈액 검사부터 다시 진행하기로 했다.

 

 

2024년 7월 30일 화요일

 

채혈실에서 채혈..

여기도 마찬가지로 키오스크에 등록해야 한다. 

 

 

 

검사결과 - 문제는 프로락틴이 아니었다!

 

 

2024년 8월 5일

 

프로락틴 수치가 52~63으로 올라가 있었다.

그리고 부신 관련 수치(?)가 좋지 않다고 하셨다. 

뇌하수체와의 관련 이야기도 하셨고 약물치료이야기도 해 주셨던 걸로 기억한다.

( 시간이 지나 구체적인 내용이 떠 오르지 않는다.)

프로락틴보다 이게 더 중요하기 때문에 이 부신 관련 검사를 먼저 해야 한다고 하셨다. 

 

난 이때 부신이라는걸 처음 들어봤다.

그게 뭐예요...??

 

 

 

 

부신이 뭔데?

 

 

 부신은 어디에 있을까?

 

부신은 우리 몸에 양쪽 신장(콩팥) 위에 하나씩 붙어 있는 작은 장기다.
크기는 엄지손가락 마디 정도로 작지만, 하는 일은 꽤 많다.

부신
부신

 

부신은 무슨 일을 할까?

 

부신은 크게 보면 코르티솔, 알도스테론, 아드레날린 같은 호르몬을 만든다.

부신은 작아도 우리 몸의 ‘호르몬 공장’ 같은 역할을 한다.

  • 혈압이 올라감 → 알도스테론 과잉, 카테콜아민 과잉, 코르티솔 과잉 공통
  • 혈당이 올라감 → 주로 코르티솔 과잉 (인슐린 저항성)
  • 붓기·부종 → 알도스테론 과잉(나트륨·수분 정체), 일부 코르티솔
  • 살이 쉽게 찜 → 코르티솔 과잉은 특히 복부·얼굴 비만
  • 두통·발한·심장 두근거림 → 크롬친화세포종(부신수질) 대표
  • 근육 약화·피로감 → 전반적인 호르몬 불균형에서 잘 나타남

이 호르몬들은 스트레스 대응, 혈압·혈당 조절, 몸의 수분 균형까지 관여하기 때문에

이상이 생기면 몸 전체가 흔들린다.

 

부신과 관련된 대표적인 질환들은 다음과 같다. 
  • 에디슨병 : 부신 피질 기능 저하로 인해 코르티솔과 알도스테론이 부족해지는 자가면역성 질환. 
  • 쿠싱증후군: 코르티솔 과다 분비로 인한 증후군으로, 중심성 비만, 고혈압, 골다공증, 피부 얇아짐이 동반됨
  •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 알도스테론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나트륨 저류 → 고혈압, 칼륨 손실 → 저칼륨혈증이 발생함
  • 갈색세포종: 부신 수질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아드레날린 과다 분비 → 교감신경 항진 증상 유발

 

 

앞으로 진행될 검사: MRI, CT, 호르몬 검사

 

 

검진 때마다 나이에 비해 혈압이 살짝 높다는 말을 자주 들었는데,
혹시 이것도 부신과 관련된 걸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잘 모를 땐 일단 의사 선생님 말 잘 듣는 게 제일이니,
하라는 검사들을 하나씩 진행해 보기로 했다.

다음 글에선 MRI, CT, 부신 호르몬 검사를 받은 경험을 정리해보려 한다.

 

 


 

 

앞으로 부신과 관련된 치료나 검사를 이어가는 과정과 느낀 점을 기록해 둘 예정이다. 이 글이 비슷한 검사를 앞두고 있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