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8

[부신 종양-EP3] 부신 기능 저하증 검사 후기 – 한림대 내분비내과 부신 기능 검사 시간이 지나 정리해 보는 후기입니다. 한림대 성심병원 내분비내과에서 받은 부신 기능 저하증 검사 후기입니다.검사 과정, 증상, 채혈 방식을 정리했습니다. ( 정확한 검사 명칭이 기억나지 않았지만, 검색해 보니 'ACTH 자극 검사' 혹은 '부신 기능 저하증 검사'로 불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 2024년 08월 09일 금요일 이번에는 단순 채혈이 아닌 다른 검사를 받았다. 이번엔 채혈실이 아닌 주사실로 들어간다. ( 채혈실은 병원 입구에서 2층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를 타면 바로 오른쪽에 위치해 있다.) 주사실은 채혈실 바로 옆에 있다.바로 앞 키오스크에 등록을 해 주고 대기하고 있으면 주사실 방에서 간호사분이 호명해 주신다. 문을 열고 들어가자 큰 방 안에 쇼파에 링거를 맞고 앉아계신 분들이 몇 .. 2025. 7. 4.
[부신 종양-EP2] 뇌 MRI 조영제 포함 후기 – 뇌하수체 확인을 위해 찍은 이유 시간이 지나 정리해 보는 후기입니다. 2024년 08월 07일 수요일부신 문제로 뇌 MRI 찍은 후기 (조영제 포함) 부신 관련 검사를 하던 중, 의사 선생님의 권유로 뇌 MRI를 찍게 되었다.보통 뇌 MRI는 금식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고 들었는데, 간호사분께서 "금식은 안 해도 된다, 편하게 식사하고 오라"고 안내해 주셔서 그대로 편하게 밥을 먹고 병원에 갔다. MRI나 CT는 통합예약센터에서 예약을 한다. 통합예약센터는 2층에 위치 해 있다. 한림대 병원에 성심이... 아이들이 참 좋아할것 같다. 다 큰 으른이는 성심이와 사진찍는걸 참아야 했다. 복장 TIP MRI촬영 시에는 금속이 포함된 옷이나 액세서리를 모두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탈의 후 가운으로 갈아입게 된다. .. 2025. 7. 3.
[부신 종양-EP1] 부신? 처음들어봤습니다 - 프로락틴 수치 이상으로 시작된 병원 진료 이야기 시간이 지나 정리해 보는 후기입니다. 부신 종양 검사, 이렇게 시작됐어요.임신 중 산전검사에서 '프로락틴' 수치가 52로 높게나와 큰 병원 진료를 보라는 소견을 받았다.이에 평촌 한림대 성심병원 내분비 내과를 방문하게 되었고, 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담당 의사 선생님의 초점은 프로락틴 수치보다 '부신'에 있었고, 그렇게 부신종양 진단 여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병원 선택 - 평촌 한림대 성심병원그렇게 가게 된 '평촌 한림대 성심병원' 내분비내과병원 선택 기준은 단순했다.집에서 제일 가까운 큰 병원이었기 때문이다. ( 지금의 집을 고를 때 근처에 큰 병원이 있냐 없냐를 따지지 않았는데,지금 생각해 보면 가까이에 큰 병원이 있다는 게 참 복이라는 생각이 든다.) 한림대학교 성심병원에 대한 .. 2025. 7. 2.
자동 물공급 시스템 DIY 물 줄 시간도 부족한 당신에게, 자동 물공급 시스템이 필요해요화분 하나, 플랜터 하나 들이면 처음엔 신나요.매일 아침 물 주고 잎을 들여다보는 시간이 소소한 힐링이 되죠.그런데 일이 바빠지거나 며칠 집을 비우게 되면,그 설렘이 걱정으로 바뀝니다.“하루만 물 안 줘도 금방 시들어버릴 텐데…”“여행 다녀오는 사이에 다 죽어버리면 어떡하지?”생각만 해도 속상하죠. 이럴 때 필요한 게 바로 자동 물공급 시스템이에요.복잡한 전자 장비도 아니고, 비싼 완제품을 사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집에 굴러다니는 페트병, 헝겊 줄, 튜브 몇 개만 있어도충분히 똑똑한 급수 시스템을 만들 수 있어요.게다가 직접 만들면내 식물에 맞게 물 공급량도 조절할 수 있고,필요한 화분 수만큼 자유롭게 확장도 가능하죠.특히 여름철처럼 수분.. 2025. 5. 22.
친환경 농약 만드는 방법 농약 없이도 내 작물을 지킬 수 있을까?처음 작물을 키우기 시작했을 때, 우리는 상상하죠.햇빛, 물, 흙만으로도 싱싱하게 자라나는 건강한 채소들.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진딧물, 총채벌레, 흰 가루병 같은 병충해가어느 날 갑자기 우리 텃밭을 점령해 버리곤 하죠. 그럴때 이 병충해들을 없애기 위해 가장 먼저 생각이 나는 것이 ‘농약’이에요.하지만 바로 뿌려도 될까요?내가 직접 먹을 작물인데, 시중 농약을 쓰는 건 꺼림칙하다는 생각,많은 분들이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특히 아이와 함께 키우는 텃밭, 실내 화분, 반려동물이 있는 가정이라면 더더욱 신경이 쓰이죠.그래서 오늘 우리는 ‘친환경 농약’이라는 답을 찾아보려고 해요.식초, 마늘, 계피, 고추처럼 집에 있는 재료로도 충분히 효과적인 해충 방제가 가.. 2025. 5. 21.
내 작물을 스스로 지키는 병충해 자가 진단법 서론: 병충해, 몰라서 키운 작물 망치는 당신에게“잎이 누렇게 말라가요... 왜 이러는 걸까요?”“처음엔 잘 자라더니, 갑자기 멈췄어요.”텃밭이나 실내 화분을 키우다 보면 한 번쯤은 이런 고민, 해보셨을 거예요.그런데 정작 그 원인을 모르면 막막하고 답답하죠.많은 초보 재배자들이 식물의 이상을 발견하고도“그냥 원래 그런가 보다” 하고 넘겨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하지만 그런 무심함이 병충해를 키우고,결국 힘들게 키운 작물을 통째로 잃게 되는 결과를 부르기도 해요.사실 병충해는 전문가가 아니라도 초보도 충분히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잎의 색 변화, 구멍, 반점, 끈적임, 냄새 같은 시그널을 통해식물은 우리에게 계속해서 상태를 알려주고 있거든요.“무엇이 문제인지 알아차리는 것”, 거기서부터 모든 관리는 시작됩니.. 2025. 5. 20.
반응형